요즘같은 환절기에 자주 발생하는 질환이 있다.
바로 대상포진이다.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몸의 면역력이 줄어들 게 되고
약해진 면역력 사이로 바이러스가 나오면서 발생하는 질병이
대상포진이다.
시간이 지나면 낫겠지..하고 대수롭지 않게 넘어가는 분들도 많은데,
대상포진은 바이러스 성 질환이기 때문에
반드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
그럼 오늘은 이 대상포진에 대해서
초기증상, 원인 등 자세하게 정리해두고 예방하고자 포스팅을 한다.
1. 대상포진 원인
대상포진이란?
수두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으로 잠복하고 있던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어 발생
정의에서 보다시피 어릴 때 수두를 앓았다면 조금 더 가능성이 높다.
바이러스다보니, 면역력이 중요한데 원인으로는
1) 고령(50대 이상)
2)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또는 암 처럼 면역력을 약화시키는 질환
3) 감정적 스트레스
4) 스테로이드나 항암제를 투여 받거나 방사선 항암 치료 등
이렇게 면역력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발생하면 대상포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흡연이나 음주, 과로, 만성피로 등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2. 대상포진 초기증상
대상포진은 초기증상, 중기증상, 말기증상으로 나누어서 설명할 수 있다.
1) 초기증상(3~4일) : 두통, 발열, 무기력, 식욕부진, 일반적으로 감기 몸살과 비슷한 느낌
2) 중기증상(2~3주) : 띠 모양의 수포와 붉은 발진, 물집이 몸 한쪽에만 생긴다. 이때 통증을 동반하게 된다.
3) 말기증상(그 이후) : 3일 이내에 고름집이 생기고, 딱지가 생긴다.
대상포진은 후유증이 있을 수도 있는데,
신경통이나 감각이상이 생길 수 있고, 심하면 청각,시각이상도 생긴다고 한다.
3. 대상포진 발병 위치
대상포진은 다양한 부위에 생긴다고 한다.
특히 대상포진이 눈 주위에 생기게 되면 눈에 합병증이 올수도 있고,
대상포진이 안면부나 귀 부분에 생기게 되면 신경마비 증상도 올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대상포진이 방광 근처에 발생하면 소변을 못보는 경우도 있다.
4. 대상포진 예방법
이렇듯 그냥 잠깐 지나가는 질병으로 치부하고 넘어갈 게 아니라
대상포진은 예방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
예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이다.
1) 대상포진 예방백신 접종
- 과거에 수두를 앓은 경험이 있는데, 아직 대상포진이 발병하지 않은 50세 이상 대상
- 대상포진 예방백신을 접종하게 되면, 발생 확률을 반으로 줄여주고, 신경통도 1/3 정도로 감소시켜준다고 한다.
2) 면역력 관리하기
위에서 설명한 것 처럼 대상포진의 원인은 대부분 면역력 저하다.
신체에 무리가 가는 활동이나, 스트레스 받는 상황을 줄여는 게 도움이 된다.
5. 대상포진 치료법
사실 바이러스라는 게 별다른 치료법이 없는 게 대부분이다.
대상포진 치료법 역시 항바이러스제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수포가 발생하고 3일 ~ 5일 이내에 병원을 방문하여 항바이러스제로
일주일 정도 치료하면 대부분 완치가 된다고 한다.
최근 여러 가지 항바이러스제의 개발로 이 병의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앞에 언급했듯이 이 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현재까지 바이러스를 완전히 퇴치할 수 있는 약제는 없다. 다시 말하면 초기에 항바이러스 제를 투약하고 포진 후 신경통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생활정보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감예방접종, 무료예방접종 대상 및 독감 증상 등 소개 (0) | 2022.09.27 |
---|---|
무지외반증, 원인과 증상 및 예방법은? (0) | 2022.09.26 |
백일해 예방접종, 꼭 필요할까?? (가격과 증상 등 정리) (0) | 2022.09.24 |
편도 결석(목똥), 원인과 빼는 법은? (0) | 2022.09.22 |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 등 정리 (0) | 2022.09.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