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궁금한 흐콤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1

음력양력변환기, 간단하게 음력양력 알아봐요 얼마 전 음력 생신을 지내시는 부모님 생일을 까먹었던 적이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양력을 대부분 사용하지만 아직도 명절이나, 어르신들의 생신은 음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음력문화가 아예 사라진 건 아닙니다. 입춘 처서 등 절기 같은 경우도 음력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음력에 대해서 알아두면 유용한 경우도 많이 있죠. 외국에서는 주로 양력을 사용하지만 아시아권에서는 음력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죠. 음력양력 유례 옛날 우리 선조들은 양력이라는 개념보다는 음력이라는 개념만을 사용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양력을 언제부터 사용했을까요? 1895년 고종황조가 태양력 기반인 양력을 처음으로 시행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 당시에는 아직 농경문화가 주를 이루었고 24절기를 기준으로 농사를 짓는 습관이 남아있어서 반발심이.. 2022. 9. 20.
2022 최저임금, 얼마나 되는 지 알아보자. 우리가 근로를 제공하는 대가로 임금을 받는데, 그 임금으로 우리나라에서 생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이 최저임금입니다. 매년 최저임금이 얼마로 정해지냐에 따라서 기업들의 수익이 달라지기 때문에 말이 많이 나오죠. 2022 최저임금도 2021 최저임금과 비교했을 때 물가상승 등을 고려해서 많이 오르기도 했었고요. 최저임금 결정 기준 1) 근로자가 생활하는데 최소로 필요한 생계비 2) 노동생산성 3) 유사근로자의 임금 등 최저임금 적용 대상 1인 이상 근로자가 근무하고 있는 곳은 전 직종 동일하게 모든 사업장에 적용 또한 정규직, 아르바이트생, 비정규직 등 근로 형태에 무관하게 모두 적용 2022 최저임금은? 2022 최저임금은 9,160원. 주 48시간을 근무 가정 = 약 1,914,440원 수령 2023.. 2022. 9. 20.
2022년 연봉 실수령액, 얼마나 될까?? 식비도 오르고, 금리도 오르고 안오르는 건 내 월급 밖에 없다는 말이 정말 와닿는 요즘 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내가 진짜 받는 월급의 실수령액이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한데요. 그래서 실수령액 계산 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실수령액 계산할 때는 4대 보험을 제외하고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계산하기 어려움을 겪으시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세금에 대해서도 알아보려고 합니다. 요즘 검색하면 연봉 실수령액이 나와있는 표는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을텐데요. 하지만 이런 경우는 대략적인 금액만 나와있는데, 실수령액을 계산해주는 계산기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2022년 연봉 실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사람인 사이트에서 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무료로 제공.. 2022.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