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연봉 실수령액, 얼마나 될까??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돈되는정보

2022년 연봉 실수령액, 얼마나 될까??

by 이야기보따리 흑곰 2022. 9. 19.
 

식비도 오르고, 금리도 오르고
안오르는 건 내 월급 밖에 없다는 말이
정말 와닿는 요즘 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내가 진짜 받는
월급의 실수령액이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한데요.
그래서 실수령액 계산 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실수령액 계산할 때는 4대 보험을 제외하고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계산하기 어려움을 겪으시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세금에 대해서도 알아보려고 합니다.

요즘 검색하면 연봉 실수령액이 나와있는
표는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을텐데요.
하지만 이런 경우는 대략적인 금액만 나와있는데,
실수령액을 계산해주는 계산기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2022년 연봉 실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사람인 사이트에서 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무료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이용해볼 수 있습니다.

사람인 사이트에 들어가면 상단 메뉴 오른쪽에 취업 TOOL메뉴로 들어갑니다.
메뉴 찾기가 어려우시면 네이버 검색에 "사람인 취업 TOOL"을  직접 입력하여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카테고리 안에는 자소서 코칭 같은 다양한 툴이 있는데,
우리가 궁금한 건 연봉이니
"연봉 계산기"를 선택합니다.
연봉계산기에서 내가 받는 연봉을 입력하면 
나의 실제 수령액이 바로 나옵니다.
실수령액은 내가 계산했을 시와 실제 회사에서 받는 금액이 상이한 경우도 있는데요.

사람인 실수령액 계산기


차이가 나는 이유는 부양가족 여부, 비과세 적용 여부나
연말정산의 환급을 받을 목적으로 세금을 더 많이 떼어가는 곳도 있으니
이 점 참고하시면 됩니다.(조삼모사...)

이뿐만 아니라 국세청 홈택스에서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근로소득간이세액표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2022년 연봉 실수령액 계산은 기본적으로 우리가 아는 것처럼 

연봉 나누기 12를 하고 4대보험, 근로소득세를 제하고 월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수령액에서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3.495% 고용보험 0.9%, 근로소득(간이 세액)이 제외됩니다. 

고용보험 같은 경우에는 0.8%에서 7월부터 0.9%로 인되었고,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같은 경우에는 
사업주와 근로자가 반반씩 납부하고 있습니다.

근로소득세를 계산혀려면
홈택스에서 몇가지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산출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근로소득세의 경우 부양가족수에 따라서
공제 항목이 달라지기 때문에..
꼼꼼하게 확인을 하고 적용해보아야 합니다. 

2022년 연봉실수령액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요.
2,300만원에서부터 2억원까지 잘 정리된 것 같아보이지만
앞서 언급한 것처럼 실수령액과는 차이가 날수도 있습니다.

 

 

표에서 보면

다들 부러워하는 억대 연봉(1억원 기준)도
실 수령액을 확인해 보면 650만원 밖에 안됩니다.

세전기준으로 월 급여에 따라
소득세 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세전 연봉이 아무리 많아도..
실수령액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연봉을 통해 월 실수령액에 대해 계산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있는데요.
2022 연봉 실수령액을 알아보려면
표를 통해서 알아보는 방법도 있지만,

앞에서 소개한 사람인 계산기를 통해서 알아보는 방법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