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한 신발을 신거나 운동을 잘못하게 되면 발바닥 통증을 느낄때가 있죠. 특히 발뒤꿈치 쪽이 자주 아프고, 아침에 일어 났을 때 첫 몇걸음을 내디딜 때 심한 통증이 오는 경우가 있는 데, 이럴 때는 족저근막염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그러다 조금 지나면 괜찮아지곤 하는 데, 앉아있다가 다시 움직임을 시작하면 또 다시 발바닥 통증이 생기므로 관리를 잘 해주어야 한다. 오늘은 이 족저근막염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예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
목차
1. 족저근막염의 원인과 증상
먼저 족저근막염의 무엇인지 부터 이야기 하면,
발바닥에는 근육을 감싸는 막인 '족저근막'이라는 인대가 존재합니다. 이 발의 뒤꿈치와 발의 앞부분을 연결해주는 족저근막은 발의 아치를 만들어 주어 걸을 때 힘을 받도록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족저근막염은 이 족저근막에 손상으로 인해 염증이 생기며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족저근막염의 원인
1) 충격으로 인한 족저근막의 손상
발에 어떤 이유에선지 족저근막을 손상시킬 수 있을만한 충격을 받게 되면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을 손상시킬만한 충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발에 무리가 가는 운동(달리기나 마라톤 등)
(2) 불편한 신발(딱딱한 구두나 플랫슈즈, 샌달, 하이힐 등)
(3) 과체중 비만
발을 디딜 때 족저근막이 체중의 충격을 직접 받기 때문에 위와 같이 발쪽에 압력이 과도하게 가해지는 경우는 족저근막염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발의 아치의 문제
발의 형태도 족저근막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평발이나 발의 아치가 너무 높은 요족 등은 발의 움직임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커서 족저근막에 과도하게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는 족저근막염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그 외 원인들
이 외에도 족저근막염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한 데, 나이가 들면서 족저근막이 퇴화되어 염증이 생기게 되면서 족저근막염이 발생하기도 하고, 임신을 한 경우 발이 평소보다 압력을 많이 받게 되어 족저근막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의 증상
족저근막염의 주요 증상은 발뒤꿈치와 발 안쪽의 통증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특히 아침에 일어나 처음 발을 디딜 때 심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족저근막은 수면 중에 수축이 되는 데, 기상하면서 수축 된 족저근막이 펴지면서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통증은 시간이 지나면 겸강되기도 하지만 활동을 계속하게 되면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은 수술을 하지 않고 대부분 보전적 치료만으로도 증상은 완화되기는 하지만 자연치유 되기까지는 시간이 오래걸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보통 6~18개월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데, 이 기간동안 자연 치유만을 기다리기 보다는 병원에 방문하여 물리치료, 충격파 치료, 주사 등의 처방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족저근막염이 자연적으로 낫는다는 생각으로 그냥 방치하게 되면 걷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게되고 통증으로 인해 잘못된 자세로 걷게되어 무릎이나 고관절, 척추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족저근막염의 예방
족저근막염은 한 번 생기면 치료가 오래걸리고 일상생활에도 불편을 가져오기 때문에 예방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족저근막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 몇가지를 소개합니다.
1) 체중감량
체중이 많이 나간다면 자연스럽게 발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족저근막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족저근막염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2) 편한 신발 신기
하이힐이나 플렛슈즈 같은 신발을 자주 신는다면 족저근막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잘 흡수할 수 없기 때문인데요. 평소에 충격을 잘 흡수해주고 발의 아치를 잘 지지해줄 수 있는 신발을 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실내에서도 맨발로 다니기 보다는 슬리퍼를 신고 활동하는 게 좋습니다.
3) 운동이나 활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
특히 기상 전이나 오래 앉아있다가 움직이는 경우에는 스트레칭을 하면 효과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발가락을 오므렸다 폈다를 반복하는 것인데, 이는 발바닥 내재근을 강화해주어 족저근막염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발가락을 이용해 수건이나 휴지 등을 움켜쥐는 방법 등을 통해서도 스트레칭이 가능하니 평소에 자주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생활정보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염의 자가진단법과 치료법 정리 (0) | 2022.11.11 |
---|---|
비염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법 정리 (0) | 2022.11.10 |
피지낭종의 특징과 치료법 정리 (0) | 2022.11.07 |
무릎 통증을 유발하는 다양한 이유들 (0) | 2022.11.06 |
20대와 40대의 주름은 다르다? 연령대별 주름의 특징(+시술법) (0) | 2022.11.05 |
댓글